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[ 우리가 1년간 섭취하는 세제가?소주 두잔?]

의외로 많은 양의 주방세제가 설거지에 사용된다. 하지만 세제 사용량에 비해 헹굼 과정에 소홀한 사람이 많다.

세제 사용후 대충 대충 헹굼의 결과


나부터도  세제거품이 보이지 않으면 다 헹구어 진거로 알고 설거지를  끝낸다.
이렇게 대충 헹궜다가는 잔류 세제를
1년간 소주 두 잔 가량  섭취하게 된다니 소름이 돋는다.

대부분의 주방세제는  계면활성제와 같은 살균 세척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
.
계면 활성제를 섭취하게 되면 우리 몸의 면역기능을 떨어뜨리게  되고 점막  손상이  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한다.
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아토피, 알레르기성비염, 천식 등의 발생 우려가 커진다.



주방 세제는 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쓰이는데 그 이유는 세척력이 뛰어나 거품을 잘 만들기 때문인데  샴푸나 비누  등의  세정용품에도 사용된다.
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식기에   남아있는  세제 잔류물이 식사 때 음식에 묻어 입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  우리가 숨 쉬고 살아가는 동안  화학물질 섭취로 부터 결코  안전할 수가 없다.

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개수대에  세제를 물과 1/1로 희석해서 설거지를 한 다음 최소 15초 정도는 헹구어 줘야 한다는 것이다.

요즘은 천연 주방 세제도 많이 나오고 하니  잘 알아보고 선택하자.

  연구팀들이   실험 결과를  이야기하면서  그릇수가 많으면  계면활성제 의 양은 자동으로 많아진다고 하는데 웃어야 하나 울어야  하나?

내가 쓰는 주방세제도 천연이라고 샀는데 지금 살펴보니 음이온 계면활성제 표시가  있다.
그래도  일반주방 세제 보단 낫겠지 위안하며  뽀드득뽀드득  소리가 날 때까지 헹굼질을 잘해서  우리 건강  잘 지키자.
먹을 게 넘쳐나는 세상에서 우리가 굳이 주방세제까지 먹을 필요가 있을까?